손소독제와 손세정제의 차이점

반응형

♥3줄 요약

1. 손소독제(Hand Sanitizers)는 물로 손을 씻지 않아도 감염을 예방하기 위해 손에 바르거나 문지르는 젤타입의 의약외품으로 식약처의 허가를 받아야한다.

 

2. 손세정제(Hand Wash)는 비누와 같이 일반적으로 물과 함께 사용하는 제품으로 화장품으로 분류가 된다.

 

3. 최근 코로나19(COVID-19)와 같은 바이러스 전염병이 유행일 때에는 수시로 손을 씻되, 반드시 비누로 30초 이상 깨끗이 씻는 것이 우선이지만, 손을 씻을 수가 없을 경우 휴대용 손소독제를 충분히 발라 손을 소독하는 것이 좋다.


손소독제와 손세정제 너무 헷갈려요.

2020년 현재 코로나19 바이러스에 감염된 확진자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있어 전국이 혼란스러운 상황입니다. 아래는 포스팅 날짜인 3/1 기준 코로나19 확진자 추이입니다. (출처 : 질병관리본부)

 

이런 상황에서 일회용 KF94마스크는 구하기도 어려우며, 막상 구한다해도 가격이 너무 비싸지요. 그리고 손소독제와 손세정제에 대한 수요도 급증했는데요. 

 

저는 여기서 문득 궁금증이 생겼습니다. 손소독제와 손세정제의 차이는 무엇인가?

 

네이버쇼핑에 들어가서 손소독제, 손세정제를 각각 검색해보면 비슷비슷한 제품들이 나오는데요.

 

 

 직감적으로는 손소독제가 당연히 더 좋을 것 같은데, 막상 좀 더 검색해보면 손세정제하고 별반 차이가 없어 보이는 제품들도 많더라고요. 그리고 손소독제와 손세정제라는 단어가 혼용되어 사용되고 있었어요.

 

그래서 저는 손소독제와 손세정제, 이 두가지의 차이점을 좀 더 자세히 찾아보았습니다.

 

손소독제와 손세정제의 차이

 먼저 손소독제는 대부분의 세균에 대해 항균효과를 나타내는 제제로 감염방지를 위해 손과 피부의 살균소독을 목적으로 사용되는 제품으로, 주로 의약외품으로 관리되고 있으며, 식약처에서 심사를 거처 허가하므로 구입할 때 제품포장 겉면에 표기된 '의약외품'이라는 문구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출처 : 손소독제에 대해 알아봅시다, 2013 KFDA 발간)

 

손소독제에대해알아봅시다(식약처).pdf
4.92MB

 이 책자에 따르면 '손소독제는 항균효과를 식약청에서 허가받은 의약외품으로 에탄올 등을 유효성분으로 하여 손이나 피부의 살균소독을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겔타입 제품이 대부분'이라고 합니다.

 

손소독제는 이런 제품들이에요 : https://coupa.ng/brQjU2

 

 반면 손세정제는 '화장품으로서 손세정에 보조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손전용물비누(핸드워시), 고체형 손세정 비누 등이 있다'고 하네요.

 

손세정제는 이런 제품들이라고 볼 수 있어요. : https://coupa.ng/brQlBE

 

 

손소독제는 어떻게 균을 죽이는가?

 손소독제의 주성분은 에탄올과 이소프로판올인데요. 이것들이 세균의 단백질을 변성시키고 지질을 변형시켜서 기능을 상실하게 함으로써 소독 효과를 낸다고 합니다.

 

 손소독제 제품의 주성분들에는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염화벤잘코늄, 크레졸, 과산화수소 5개 성분을 포함하는 제품은 의약외품으로 관리되고, 이 중 한 가지 성분이 효과를 나타내는 주성분으로 함유된다고 해요.

 

 그리고 현재 시중에는 에탄올을 주성분으로 함유하는 것과 이소프로판올을 주성분으로 함유하는 두 종류의 제품이 가장 많이 출시되어 있는데요. 손소독 제품 중 에탄올은 약 60%, 이소프로판올 약 70%를 각가 함유하고 있으며, 대부분의 세균과 바이러스에 효과를 나타낸답니다.

 

손세정제는 어떻게 균을 죽일까요?

 기본적으로 흐르는 물로 바이러스를 흘려보내고, 계면활성제인 비누를 통해서 바이러스를 떨어뜨리고 마찰을 일으켜서 바이러스를 떨어뜨린다고 합니다. 그래서 손세정제를 가지고 손을 씻기만 하더라도 바이러스든 세균이든 제거가 가능하다고 합니다.

손씻기가 가장 중요

 손소독제를 사용하든 손세정제를 사용하든 다 좋은데요. 가장 중요한 것은 사용법에 맞게 사용하는게 제일 중요한 것 같아요. 손소독제의 경우 20초 이상 손을 비비시는 것이 좋고, 손세정제의 경우 바르고 바로 물에 씻겨보내는 것 보다는 30초 동안 손 이곳저곳을 충분히 비벼서 닦아주셔야 한답니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손으로 눈, 코, 입 등을 만지는 일을 삼가는 것인데요. 손에 혹시라도 묻어 있는 바이러스, 세균이 얼굴에 닿는 순간 옮겨질 수 있기 때문에 이 또 한 중요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자, 오늘은 손소독제와 손세정제의 차이에 대해서 알아보았는데요. 정보가 유용하셨다면 제 블로그 구독 눌러주시고요. 다음에 더 유요한 정보를 공유하도록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